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지난 4월, 기아가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픽업 최대 시장인 북미에서 신규 전기차 플랫폼에 기반한 중형 전동화 픽업 출시 계획을 밝힌 가운데 최근 해당 계획이 돌연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시각으로 25일, 카스쿱스 등 외신은 기아가 6개월 전 북미 시장을 겨냥한 신형 전기차 모델 출시 계획을 세웠지만 이제 막 시작 단계에 접어들면서 차질을 빚고 있다고 전했다.
매체는 기아 미국법인 마케팅 부사장 러셀 웨이거(Russell Wager)를 인용 "EV4 세단과 향후 픽업 트럭의 운명은 이제 기아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는 관세 안정에 달려 있다"라고 언급했다고 소개했다.

EV4는 이미 여러 차례 북미 출시가 연기됐고, 전기 픽업 역시 내부 검토 단계에서 진전을 보지 못하는 이유가 동일하다는 설명이다.
웨이거 부사장은 “멕시코·캐나다·한국과의 관세가 언제 정리될지 예측할 수 없다”며 “25%인지 15%인지, 숫자가 확정돼야 사업성이 평가 가능하다. 최초 개발은 관세 0%를 가정한 상황에서 이뤄졌다”고 말했다. 관세가 고정되지 않으면 수익성 평가가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수요 둔화도 변수로 작용한다. 미국 연방 전기차 세액공제가 축소되면서 시장 전반의 전기차 구매 동력은 약화되고 있으며, 기아 내부에서도 “북미 소비자 수요가 회복되기 전에는 추가 모델 투입이 부담될 수 있다”는 시각이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기아는 올해 4월 이후 약 8개월 동안 관세 인상분을 가격 인상 없이 버텨왔지만, 장기 지속은 어렵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웨이거 부사장은 “여타 브랜드들이 가격을 올렸고 판매가 둔화된 사례도 있다”며 “관세가 높게 유지되면 기아 역시 가격 조정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번 상황은 현대차그룹 전체의 북미 전동화 전략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기아와 현대차는 그동안 ‘가성비·가치 대비 상품성’이라는 고유 경쟁력을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왔지만, 관세 리스크가 이어질 경우 가격 경쟁력 방어가 쉽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업계에서는 북미 관세 환경이 단기간 내 안정될 가능성이 높지 않은 만큼, 기아가 EV4와 전기 픽업의 현지 생산 전환, 출시 지연, 라인업 조정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기아는 “중장기적으로 북미 시장에 경쟁력 있는 EV 포트폴리오를 갖추는 전략은 변함없다”며 유연 대응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