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수첩] "좋은 시절 끝났다" 美 전기차 세액 공제 종료... 반토막 날 것

미 전기차 세액공제 종료…가격 경쟁력 상실
하이브리드로 수요 쏠릴 것... 관세 조정 시급

  • 입력 2025.10.01 08:24
  • 수정 2025.10.01 08:33
  • 기자명 김흥식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차에 최대 7500달러를 지원하는 미국 연방 세액 공제 혜택이 현지 시간으로 9월 30일 종료됐다. (Pexels)
전기차에 최대 7500달러를 지원하는 미국 연방 세액 공제 혜택이 현지 시간으로 9월 30일 종료됐다. (Pexels)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미국 연방정부가 전기차(EV) 구매 시 최대 7500달러를 지원하던 세액공제 제도가 1일(현지 시간) 종료된다. 가격에 대한 저항감을 낮춰 전기차 수요를 끌어 올렸던 최대 혜택이 사라지면서 미국 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업계는 단기적으로 수요 절벽을 우려하는 한편, 하이브리드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전환기’에 대비하고 있다. 무엇보다 가격 경쟁력이 사라진 전기차 부담이 소비자 선택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세액공제 종료 직전 전기차 판매는 급증했다. 올 3분기에 전년 대비 20% 늘며 시장 점유율 10%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그러나 이는 보조금 혜택 종료 전 ‘당겨 사기’ 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짐 팔리 포드 CEO는 “향후 EV 점유율이 5%로 반토막 날 수 있다”며 냉정한 전망을 내놨다. 

보조금이 사라진 이후 완성차 업체들은 고전이 불가피하다. 전기차 평균 가격은 5만 7000달러(약 8000만 원)를 넘고 내연기관 대비 9000달러(약 1200만 원)이상 비싸다. 단기적으로는 인센티브 확대나 저금리 금융상품을 통해 수요를 방어하겠지만 마진 압박은 피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완성차들은 하이브리드(H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강화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완전 전동화로 가기 전 하이브리드가 소비자 수용성을 확보할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현지에서는 중장기적으로 미국 전기차 시장이 완만한 성장세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2030년 전기차 점유율을 기존 40%에서 30% 수준으로 낮췄고 이 자리를 하이브리드가 꿰찰 것으로 전망한다.

현대차·기아 등 국내 완성차 업체에 미칠 영향도 불가피하다. 미국 내 전기차 모멘텀 둔화로 실적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차·기아가 강점을 보이는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대는 오히려 기회 요인이 될 전망이다. 단, 자동차에 부과된 25%의 관세를 일본의 10% 낮춰야만 가능한 일이다.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토헤럴드 편집장으로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30년 이상 경력의 자동차 전문 저널리스트로서 국내외 자동차 산업 전반을 폭넓고 깊이 있게 취재하고 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