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모빌리티 '교육이 백년지대계' 대학교수 95%는 내연기관차 전문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 입력 2022.09.11 08:58
  • 수정 2022.09.11 09:01
  • 기자명 김필수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차보다 모빌리티라는 명칭이 익숙해지기 시작했다. 지난 130여 년 내연기관차 중심에서 자율주행,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UAM), 퍼스널 모빌리티(PM) 등으로 이동의 수단과 개념이 확산하면서 '기계 중심 자동차'는 '전기·전자 중심 모빌리티'로 확대 개편하고 있다.

지금이 그 과도기라고 볼 수 있는데 워낙 빠르게 진전되다 보니 과거 10년보다 앞으로 1년의 변화가 더 크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이런 변화에 대비한 전문 인력 양성에 소홀한 것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충전기 등 관련 신산업의 규모와 성장에 맞춰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정부가 많은 관심을 갖고 있지만 가장 빨리 변해야 하는 교육기관의 대응은 아쉬운 부분이 많다. 우리 먹거리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아야 하는 상황에서 전문 인력 양성은 다른 어떤 분야보다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대학을 중심으로 한 교육 시스템의 변화가 쉽지 않다.

교육은 백년대계로 보고 길게 이어가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회의 변화에 맞춰 교과 과정의 능동적 대처가 필요하다. 대학 학과의 보수적인 문화는 물론, 그 이상으로 변화를 두려워하고 피하는 '대학교수'의 변신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

전국 대학에서 자동차 분야는 빠르게 변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않는다면 구시대 유물이 된다. 최근 자동차 흐름은 앞서와 같이 너무 빠르게 변하면서 생각지도 못한 분야로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교육기관이 능동적으로 변해야 하는 것은 기본 책무이고 이에 걸맞은 미래형 인재 양성에 주력해야 한다.

현재의 흐름은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 자율주행 기술, 배터리 기술, 차량용 반도체 기술을 비롯한 융합형 기술의 교육으로 가고 있다. 워낙 빠르게 변하고 있어 이에 따른 인재 보급은 모빌리티 산업 전반의 성공 여부를 가르는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그런데도 국내 교육기관의 대처는 미흡하기만 하다. 특히 자동차 관련 학과는 아직도 내연기관차 중심의 교과과정과 교재, 교보재에 머물러 있다. 아직 자동차 산업의 중심이 내연기관이라는 현실적 문제가 있기는 하나 모든 변화가 이미 시작된 만큼 미래 모빌리티 분야로 교육의 개념도 바뀌어야 한다. 엄청난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데 대학을 중심으로 한 자동차 관련 분야의 교육이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대학교수의 95% 이상이 내연기관차 중심의 연구 경험이나 전기차와 같은 미래차에 대한 교육 경험이 전혀 없다는 사실이다. 즉 인스트럭터 교육조차 받지 못한 탓에 산업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교보재는 물론이고 교육 프로그램, 전기차 등 미래차 관련 과목도 없으니 자율주행 기술은 그림의 떡이다.

전기차 하나 없는, 교재도 없는, 전기차 교육을 받지 못한 교수가 있는 대학의 교육 시스템에서 우리의 미래 모빌리티가 있을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도 학과 명칭은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과에서 미래자동차학과, 미래 모빌리티학과, 모빌리티 융합과, IT모빌리티과 등으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명칭이 바뀐다고 미래 모빌리티 교육이 되는 것은 아니다. 4년 전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미래차 현장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위원회를 구성해 재작년부터 예산을 편성하고 국내 최초로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작년부터 국내 4개 대학이 전기차 기증, 미래차 교재 개발, 프로그램 개발, 교수요원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예산도 늘어 올해는 2개 대학이 추가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대통령에게 전문 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보고하면서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확산하기에는 예산을 비롯해 부족한 부분이 많다. 교수 교육을 받는 대학교수가 한정된 영역에서 연간 대학별 대상 인원이 지역별 200여 명에 그치고 있다. 당장 전국적으로 4만 5000곳의 정비업에 종사하는 인원 10만 명 이상을 교육해야 하는 상황에서 턱없이 부족한 인원이다.

자동차 부품업, 충전 인프라, 배터리 리사이클링, 전기차 튜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은 지금은 물론 앞으로 엄청나게 증가할 것이다. 대규모 인력 양성이 필요한 이유다. 자동차 분야 대학 교육은 변화에 대응해 능동적으로 변화해야 하고 교수 본인도 필요한 역량을 갖춰야 한다. 변화를 피하며 아집을 부리면 구시대 유물로 남게 된다. 변화가 살길이다.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