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ㆍ기아차 단순 리콜에 온갖 억측 난무

  • 입력 2013.04.09 01:04
  • 기자명 김흥식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에서 시작된 현대ㆍ기아차의 대규모 리콜 사태의 여파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현대ㆍ기아차의 미국 내 리콜 대상 모델은 총 186만9736대, 한국에서도 16만여대의 차량이 같은 이유로 리콜이 실시되고 있어 총 규모는 200만대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리콜이 2010년 있었던 도요타의 초대형 리콜 사태와 원인과 규모에서 다르기는 하지만 어렵게 쌓아왔던 기업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준다는 점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편에서는 현대ㆍ기아차가 이번 리콜의 빌미가 된 에어백과 제동등 결함을 인지한 시기, 무상수리 비용, 협력업체 도산 등 각종 추측성 의혹들까지 제기되며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차량 이상 언제 알았나=현대차와 기아차의 이번 리콜은 대부분 2011년 이전에 생산된 구형 모델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2011년 이후 생산 차량에서는 같은 결함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현대ㆍ기아차가 리콜을 실시하기 이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도 이를 은폐하거나 축소하려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ㆍ기아차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단언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문제가 된 제동등 미점등은 스탑 램프 스위치(Stop Lamp Switch)의 접속 불량때문에 발생했다"고 말하고 "이런 문제점이 발견된 것은 올해 초였으며 3개월 가량의 원인 분석을 거쳐 리콜을 결정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통상적으로 소비자들한테 제기된 문제점을 접수하고 이를 분석하는데 수 개월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교적 신속한 조치로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헤드라이너에 부착된 고정 브라켓이 커튼 에어백 전개시 이탈하는 문제도 2012년 중순 처음 사례가 보고됐고 이후 원인 조사와 처리 방법 등에 대한 논의와 검토를 거쳐 역시 빠르게 리콜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NHTSA의 리콜 결정이 소비자 불만을 접수하고 제조사의 해명과 자체 조사를 하는데만 수 개월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대ㆍ기아차는 이례적으로 빠르게 대응했다고 볼 수 있다.    

천문학적 리콜 비용으로 휘청=이번 리콜에 따른 무상수리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갈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러나 문제 내용을 살펴보면 천문학적 비용 주장은 터무니없는 억측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문제가 된 고정 브라켓 이탈은 차량 출고후 눈부심 방지 후사경(auto-dimming rear view mirror)을 설치하기 위해 한 번 떼어낸 브라켓을 다시 접착하는 과정에서 접착력이 떨어지는 접착제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접착력을 높이는 단순 재작업으로 비용은 크게 걱정할 수준이 아니라는 얘기다.

문제는 스탑 램프 스위치의 경우 리콜 규모에 따라 꽤 많은 비용이 필요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 부품의 정확한 가격이 공개되지는 않고 있지만 종합해 보면 현대차가 총 900억원, 기아차는 총 400억원 수준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리콜 규모로 봤을 때 도요타가 대당 250만원의 비용을 투입했던 것과 비교하면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지금까지 나온 리콜 대수와 비용을 계산하면 대당 6만5000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계산상으로는 1000억원이 넘는 리콜 비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지만 개별 운전자들이 문제가 없다고 느끼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실제 비용은 이보다 적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도 대상 차량이 100% 무상 수리를 받는다고 해도 순이익의 1%에 불과한 비용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전망을 내놨다.

부품 납품 협력업체와의 문제는=부품 문제가 아닌 에어백 브라켓과 달리 스탑 램프 스위치는 협력사가 직접 납품을 했다.

이 때문에 문제가 된 스탑 램프 스위치를 납품한 협력사가 이번 사태의 일정 부분 책임을 질 경우 결국 도산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아직까지 이번 사안이 스탑 램프 스위치의 자체 불량에서 비롯된 것인지 아니면 조립 과정에서의 실수인지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나오지 않았다.

문제는 부품 결함에서 비롯됐을 때 현대ㆍ기아차가 이번 리콜 비용의 상당 부분을 협력업체에 요구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회사의 규모로 봤을 때 만약 현대ㆍ기아차가 리콜 비용의 분담을 요구하면 협력사는 도산할 수 밖에 없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대차는 그러나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한 관계자는 "명백하게 부품 협력업체에 귀책 사유가 있다면 몰라도 우리가 자체 검사를 통해 인증한 부품에 결함이 있다고 하기 어렵고 이를 증명하는 것도 쉽지 않은 사안"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룹사 전체가 협력업체와의 상생과 동반성장을 핵심 경영 목표로 삼고 있는 상황에서 리콜 비용을 전가시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