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교통사고 줄이는 지름길 `주간 주행등`

  • 입력 2012.08.23 14:11
  • 기자명 박진솔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이카 시대` 라는 시대적인 용어가 새삼스럽게 느껴질 만큼 자동차는 이제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됐다. 2011년 1세대 당 자동차 보유대수는 0.91대, 자동차 생산량은 세계 5위로 자랑스런 우리나라의 위상이지만 교통사고 사망률 또한 OECD 회원국 중 톱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자구책으로 해외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주간 주행등의 점등을 의무화하고 있다.

주간 주행등이란, 차량의 주간 주행시 사용되는 별도의 등화장치로서 운전자의 전방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해주고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에게도 잘 보이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간 주행등의 광원으로 최근에는 소비 전력이 적고 수명이 긴 고효율의 LED가 적용되고 있는 추세다.

주간 주행등의 점등은 1972년 핀란드에서 최초로 의무화했고 이후 대부분의 북유럽 국가가 의무화한 상태다. 이에 따른 효과로는 북유럽의 경우 8.3%, 독일 3.0%, 미국 5.0%의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우리나라에서는 교통안전공단 발표에 따르면 교통사고가 19%정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교통사고 감소비용으로 환산하면 424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차량의 주행등 관련 특허출원은 총 987건이고 주간 주행등에 관한 것은 69건이다.  출원인별로는, 국내기업이 주간 주행등 관련 전체출원의 약 77%(53건)를 차지해 외국기업 17%에 비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국내기업이 주간 주행등 점등을 의무화한 해외 선진국의 동향을 주시해 왔고 2008년 이후 국내에서도 주간 주행등에 대한 인식이 확산돼 이를 법제화 하려고 했던 사회적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주간 주행등은 수입차나 국내 고급차 위주로 장착돼 있는 탓에 사치품이라는 선입견이 들 수도 있으나 OECD 회원국 중 교통사고 사망률이 가장 높은 국가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서는 주간 주행등의 의무 장착 및 점등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자동차 강국이라는 국가 위상에 걸맞게 주간 주행등 관련 기술개발 및 특허권 확보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고 국민의 안전보장과 자동차의 품격향상을 위해서는 시장경쟁력이 있는 고사양, 저가격의 제품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