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붙은 BMW 화재, 국토부도 소명 책임이 있다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 입력 2019.11.10 08:42
  • 수정 2019.11.10 08:45
  • 기자명 김필수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잠잠했던 BMW 자동차에서 최근 다시 화재가 발생했다. 자동차의 연간 화재 발생 건수가 5000여 건, 매일 13건에 달하지만 지난 2년간  BMW 화재는 국민적 관심사였다. 따라서 최근 1주일 사이 집중한 5건의 BMW 화재는 주목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 리콜을 받은 자동차의 화재는 당연히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감독기관인 국토부도 배기가스재순환장치인 EGR이 화재와 직접 관계가 없다는 것을 입증해야 할 책임이 생겼다.

가장 큰 고민은 EGR 모듈의 냉각기능 강화 부품과 불꽃이 닿는 흡기매니폴드의 가연성 재질 부분을 불연성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내려진 리콜 수리 결정이 바른 판단이었는가 하는 것이다. 국토부 민관조사단에서도 이런 방식의 리콜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토부 발표 이전부터 엔진설계, EGR 모듈의 냉각 기능 설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리콜 방법이나 기술적 적용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EGR 냉각기능을 회복시키고 화재를 예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소프트웨어를 통해 EGR로 유입되는 뜨거운 배출가스를 줄이면 온도 상승을 낮춰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미세먼지의 원인 물질인 질소산화물이 급증하게 된다. 이 경우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 기준을 어기게 되고 따라서 BMW도 소프트웨어를 조작하는 일은 없었다고 적극적으로 해명한 바 있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 시도할 수 있는 하드웨어 EGR 시스템 냉각기능은 업그레이드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엔진의 냉각기능과 연동되는 만큼 별도로 냉각 펌프의 기능을 올려서 많은 양의 냉각수를 공급하는 방법은 엔진 재설계라는 문제로 커지게 된다. 하드웨어적인 방법도 불가능해 보였던 이유지만 국토부는 EGR 교체를 중심으로 하는 리콜 방안을 선택했다. 이 방법이 제대로 된 리콜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화재가 더는 발생하지 않아야 했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BMW 화재 중에서는 리콜 수리를 마친 자동차가 있었고 따라서 EGR과 무관하며 다른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국토부의 해명이 필요해졌다.

아쉬운 부분은 최근 BMW 화재가 다시 발생하자 기다렸다는 듯이 이 회사의 직원 8명을 경찰이 기소했다는 점이다. 시기적으로 이슈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 BMW 입장에서는 그동안 리콜과 검경의 조사 결과 발표 등에 대한 두 가지 문제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BMW 코리아는 국내 기업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지난 20여 년간 우리 산업에 큰 역할을 했다. 고용 창출과 더불어 다양한 자동차 산업과 문화에 큰 공적을 남겼고 과감한 투자와 소비자 보호 등을 추진해 독일 본사가 벤치 마킹할 정도로 좋은 선례를 이어왔다.

영종도의 드라이빙센터, 전국에 산재한 연구개발센터와 물류센터 등 국내 산업에 녹아들기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써왔다. 우리 업체가 연간 수천억 원의  부품을 독일 본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성과도 만들어냈다. 미래 공익재단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도 펼치고 있다. 그래서 본사의 잘못을 BMW 코리아가 모두 떠안는 모습이 안타깝다. BMW 코리아가 이 고비를 잘 극복해 사랑받는 기업으로 부활하기를 바란다. 충분한 역량과 자격을 갖고 있다. 

 

키워드
#BMW #차량화재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