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 혼다와 효성 스즈끼' 꺼져가는 이륜차 산업 다시보기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 입력 2019.09.22 07:55
  • 수정 2019.09.22 08:15
  • 기자명 김필수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토바이, 이륜차도 자동차다. 그러나 4개의 바퀴가 달린 자동차 운전자는 이륜차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고 따라서 정부나 민간 부분이나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 관련 단체 몇 곳이 있지만, 전문성이나 공적인 역할에 한계가 있다 보니 이륜차와 관련된 제도, 산업, 문화는 사라졌고 이제 모든 것을 포기한 상태다. 

한때 이륜차 산업은 호황이었다. 대림혼다(기아혼다) 또는 효성스즈끼로 대표되는 쌍두마차가 연간 30만대를 생산 판매했다. 그러나 일본 업체와의 제휴가 끓기고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지만, 연구개발 능력의 부족과 정부의 무관심, 규제 등으로 쇠락의 길을 걸어왔다.

이륜차의 연간 판매량은 현재 약 12~13만대 수준, 이마저도 혼다 등 외국계와 중국산 이륜차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제작사는 모두 해외로 이전했고 중국산 제품에 로고만 달고 파는 상황이 됐다. 국산 친환경 이륜차 보급도 쉽지 않은 모양새다.

정부가 기존 이륜차 산업의 생태계를 전혀 모르는 상황에서 전기 이륜차 보급을 대통령 공약으로 진행하다 보니 수요와 공급은 무너지고 국내 연구개발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륜차 수요는 퀵 서비스 또는 배달용, 그리고 레저용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리고 이 시장 대부분을 저가의 외국산, 그리고 BMW와 혼다 또는 할리 데이비드슨 등이 장악했다. 이보다 심각한 것은 등록제가 아니면서도 세금을 자동차 기준으로 내고 재산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OECD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전용도로 진입을 불허하는 후진국이라는 점이다. 

이륜차를 사용 신고하는 제도부터 폐차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은 얘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허술하고 정비, 보험, 검사, 폐차 등 제대로 된 하나를 찾기 어려운 정도다. 무자격자의 길거리 정비, 종합보험 미가입 이륜차의 질주, 말소 신고만 하면 산이나 강에 버려도 되는 폐차까지 말 그대로 무법지대다.

이륜차도 주요 교통수단이라는 점에서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우선 정부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친환경 이륜차, 공유경제 확산에 맞춰 선진형 제도를 참고해 우리 상황에 맞는 제도를 도입하고 관련 산업의 활성화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 남아있는 국내 이륜차 제작사를 위한 친환경 제품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산업 발전을 유도하는 정책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미래 이륜차 산업과 문화에 대한 가능성을 놓고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부처가 고민해야 할 때다. 친환경 이동 수단에 대한 욕구, 이에 따른 미래 교통수단의 변화를 예상했을 때 국내 이륜차 산업은 버려서는 안 되는 영역이다. 다시 시작해야 한다.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