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한 하이브리드카 한 대 없는 쌍용차의 불안한 미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 입력 2019.06.30 07:53
  • 수정 2019.06.30 08:04
  • 기자명 김필수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년 전 중국 상하이자동차의 먹튀로 경영이 위태로웠던 쌍용차는 인도 마힌드라를 만나면서 숨통이 트였다. 노사 화합의 중요성, 코란도 브랜드의 부활, 소형 SUV ‘티볼리’가  선제적으로 출시되면서 시장 주도권 장악에도 성공했다. 만년 꼴찌였던 순위도 출시되는 차종마다 인기를 끌면서 3위로 상승했고 특히 노사분규가 일상화된 상황에서 유일하게 안정적인 노사 관계를 유지하는 가장 큰 점수를 줄만하다. 

상하이 자동차의 철수를 계기로 경험했던 극단적인 대립을 겪으면서 안정된 노사관계가 얼마나 중요한 가를 피부로 느꼈기 때문이다. 르노그룹에서도 인정하던 르노삼성차 부산 공장이 1년간 부분 파업으로 겪은 고통과 더욱 대비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쌍용차는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현실에 안주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우선 SUV에 치중된 차종의 다양성이 절실하다. 

세계적으로 SUV가 대세이기는 해도 아직 세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이상이고 따라서 건재하다고 할 수 있다. 쌍용차는 앞으로 어떻게 차종을 넓혀갈 것인지 고민해야 하고 당장 어렵다면 최소한 CUV 등으로 차종을 늘여 나가야 한다. 둘째 디젤 기반의 한계성을 극복해야 한다. 정부가 승용 디젤차를 없애기로 한 이상 더 적극적인 규제 정책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친환경 차종에 매우 취약한 쌍용차의 입장에서는 하이브리드카는 물론 전기차 전환은 당장 시급하고 필수적인 요소다. 앞으로 이산화탄소 규제나 연비 규제 등 다양한 글로벌 기준을 넘어서는 친환경차 개발도 필요하다. 특히 전기차에 대한 연구개발 능력이 협력이나 제휴, 공동 개발 등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셋째 자동차 분야의 친환경 규제는 더욱 빨리 다가오고 있어 대비해야 한다. 

제작사의 친환경차 의무 판매제가 시행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 친환경차 협력금 제도를 포기하고 대신 친환경차 의무 판매제가 부각되고 있어 언제부터 어느 비율로 시작할 것인지의 문제만 관건으로 논의되고 있다. 중국은 이미 올해부터 친환경차 의무 판매를 10%로 시작해 매년 2%씩 증가시키는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4~5% 정도부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준비를 쌍용차는 서둘러야 한다. 

넷째 수출의 다변화이다. 연간 180만대 내외의 시장이 갖는 한계를 넘어서려면 해외 시장 개척이 필수다. 안정적인 생산 물량을 확보하는 것이 노사 관계의 유지에도 영향을 주는 만큼 중국 시장은 물론 인도 시장에서 모기업인 마힌드라를 통한 판매 등 다변화가 필요하다. 마힌드라도 쌍용차가 다양한 차종이나 친환경차 연구개발에 아낌없이 투자해야 한다.

쌍용차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지만, 협력사와 수평 관계를 지향하며 많은 배려와 협조를 하고 있고 중소기업과 협력해 애프터마켓의 다양성을 키우는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을 몸소 실천하는 기업이라 확신한다. 쌍용차 앞에 놓여 있는 과제는 많지만 할 수 있다는 자신감, 안정된 노사관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지금까지 거둔 것 이상의 성공적인 이미지를 계속 끌고 나가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