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 누비는 초소형 전기차, 중소기업 중심 지원해야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 교수

  • 입력 2018.02.11 09:29
  • 수정 2018.02.11 09:33
  • 기자명 오토헤럴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인승 초소형 전기차 시장인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이 기지개를 펴기 시작했다. 일반 고속 전기차 시장은 연간 최대 5만 대 이상 확장했고 수년 전부터 가능성을 보고 준비한 중소기업의 행보도 빨라졌다. 따라서 올해 후반기는 ‘전기차의 빅뱅’이 예상된다.

1회 충전으로 갈 수 있는 거리가 300Km를 넘기 시작했고 공공용 급속충전기가 빠르게 늘면서 전기차의 단점도 사라져가고 있다. 보조금이 조금 줄기는 했지만 노르웨이와 더불어 세계 최고 수준이기 때문에 전기차 구입은 지금이 적기라고 할 수 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의 전망도 밝다. 환경부가 재작년 후반 578만 원의 보조금 책정을 마쳤고 올해는 450만 원 수준에서 준비되고 있다. 중소기업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차종이 늘고 있는 것과 달리 국토교통부의 안전기준이 계속 늦어지면서 이제야 본격적인 판매가 시작됐다.

안전성이 부족한 일부 차종이 있기는 하지만 현재 여러 중소기업형 모델이 다양한 경로로 판매되고 있다. 그런만큼 전기차 활성화를 위한 각종 문제점을 해소하고 해결방안을 찾아야 하는 숙제도 많아졌다. 그 중에서도 이제 시작한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활성화를 위해서 몇 가지 고민해야 할 것들을 짚어본다.

우선 현재 판매가 시작된 각종 중소기업형 모델에 대한 소비자 판매를 위한 문제점은 없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상당수가 중국산인 만큼 제품에 대한 확실한 검증은 물론 한국형 부품 등 다양한 융합모델로서의 역할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

생산지와 형태를 소비자에게 알리고 무상 애프터 서비스 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는지도 재차 점검해야 한다. 품질상의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면 영세한 중소기업 입장에서 대응하기 어렵고 서비스 문제 등에 대한 여러 한계가 노출될 수 있다.

이런 문제는 초소형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전체 시장이 위축될 수 있고 또 다시 대기업 중심으로 시장이 왜곡될 수 있다. 약 10년 전 이미 저속 전기차의 실패를 경험한 것도 이런 이유다. 글로벌 강소기업이 육성되려면 더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국토교통부의 안전 기준도 시급하다. 지난 4년간 준비한 지금의 안전기준이 과연 중소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대기업 중심이 아닌지 고민해야 한다. 현재 출고된 르노삼성 트위지는 유럽 FTA로 인증이 자동 허가된 반면 나머지 두 개의 중소기업형 모델은 특례조항으로 허가됐다.

현재 마련된 국토부 안전기준을 중소기업형 모델이 수용할 수 있는지 고민되는 부분이다. 안전을 빌미로 지나치게 규제를 하는 포지티브 정책의 연속이 아닌 지 다시 한번 점검하기 바란다. 또 국내 연구개발형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과 후속 조치이다.

중국산도 좋지만 실질적으로 국내 기반의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제작된 마이크로 모빌리티 제품을 지원하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0.5톤 전기차 트럭을 판매하고 있는 파워 플라자와 역삼륜형 전기이륜차를 만드는 새안모터스도 순수 국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중소기업이다.

대기업 중심의 연구개발비 지원과 다르게 중소기업에는 인색한 것이 현실이다. 설사 지원이 있어도 앞에만 중소기업이지 컨소시엄 형태로 대기업이 받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대기업은 수억 원 정도의 지원이 큰 의미가 없지만 중소기업은 존폐가 달린 비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고 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의 규모에 맞춰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은 고속 전기차가 충족시켜 줄 수 없는 영역에서 반드시 필요한 친환경 교통수단이다.

제주도와 같은 관광지, 도농 지역, 고령자 이동수단, 도심지 등하교 등 활용성이 무궁무진하다. 택배나 음식배달로 많이 사용하는 이륜차보다 안전성도 높다. 우편배달부용으로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생각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따라서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정부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글로벌 강소기업의 육성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활성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규제를 없애고 지원에도 관심을 가져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