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기관차 판매 중단, 우리도 가능할까?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 입력 2017.10.15 09:29
  • 수정 2017.10.15 09:36
  • 기자명 오토헤럴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는 자동차 산업계 최근의 화두다. 세계적인 모터쇼 등 각종 행사에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를 빼면 자동차를 언급하기 힘들 정도다. 전기차는 현재 진행형이고 자율주행차는 이제 시작이다. 특히 전기차의 단점을 지우고 장점을 부각시키는 연구개발과 양산형 차종 투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전기차의 단점인 일(日)충전거리 부족과 충전시간, 인프라 부족 문제는 개선되고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차와 함께 자동차 산업이 국가 경제 양대 축의 하나인 우리로서는 소홀히 할 수도 없고 가장 중시해야 하는 분야다. 그러나 우리는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전기차 등 친환경차 개발과 보급측면에서 뒤진 형국이다.

약 3년 정도 뒤진 상태여서 속히 한국형 선진모델이 요구된다. 최근 전기차가 자동차 주류로 편입되면서 각국, 메이커에서 전기차 선언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노르웨이와 네덜란드가 오는 2025년 자국 내 내연기관차 판매중지를 선언했고 독일과 인도, 영국과 프랑스도 2040년을 같은 시점으로 선언했다.

중국까지 적극 고려 중이고 여러 메이커의 선언도 이어졌다. 디젤게이트로 곤혹을 치뤘던 폭스바겐이 2019년까지 약 80개의 전기차를 개발하겠다고 선언했고 벤츠도 다양한 전기차 개발을 추진한다. 볼보는 2019년부터 순수 내연기관 신차를 더 이상 내놓지 않겠다고 밝혔다.

토요타도 수소 연료전지차 뿐만 아니라 전기차 개발 보급 계획을 밝혀 전기차는 완전한 흐름이 되고 있으며,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사 됐다. 특히 선진국 대비 내연기관차 원천기술 개발에 한계를 느꼈던 중국은 중앙청부 차원에서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다.

중국은 1년 유예가 되었지만 메이커의 의부 판매제 등 강력한 제도를 2019년부터 시행할 예정이어서 글로벌 메이커에 상당한 파급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메이커는 이미 작년 판매된 전기차 약 80만대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절대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글로벌 메이커 입장에서는 그리 탐탁치 않은 상황이다. 지난 120여년 동안 수직 하청구조의 중심이었던 내연기관 중심에서 핵심부품이 엔진과 변속기를 빼고 배터리와 모터를 넣는 수평 구조로 탈바꿈하는 것이 달갑지 않고 내연기관차의 경쟁력이 아직 높고 주도권을 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가장 안정화된 기술로 본다.

따라서 급격하게 변하기 보다는 하이브리드차 등 다양한 친환경성으로 단계별로 발전하기를 바라고 있다. 완전한 민간 비즈니스 모델이 확립되기에는 아직 경쟁력이 약하다고 보고 이러한 과정을 연차적으로 진행해 연착륙을 바라는 것이 메이커의 속내다.

최근 엔진과 변속기 등 핵심 역량을 가지기 시작한 현대차 그룹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한국전기차협회장을 맡고 있는 필자의 생각도 아직 전기차는 세컨드카이고 무공해가 필요한 영역에서 도심형 단거리용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

아직은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등 다양한 친환경차가 등장하면서 단계별 발전으로 충격을 완화하고 동시에 먹거리 확보차원으로 나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국제적 환경 기준이 강화되고 미세먼지 등 현안 문제가 부각되면서 전기차의 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다.

내년 후반을 전기차의 빅뱅이라고 할 정도로 전기차의 여러 단점이 사라지면서 주도권을 잡아가고 있다. 정부가 각 완성차 메이커의 전기차 의무 판매제 등을 거론하면서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하고 나섰다는 점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아직 일본과 미국 등은 전기차 선언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독일 등도 선언적 입장보다는 기존 디젤 게이트를 탈피하기 위해 전기차를 활용하고 있다는 의도가 보인다. 이렇게 세계 주도권을 쥔 국가와 글로벌 메이커는 목소리를 아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내연기관차와 하이브리드차와 같이 주도권을 갖고 있는 차종으로 일정한 역할을 분담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른 나라와 같이 적당한 날을 잡아 '내연기관차의 종식'을 선언할 것인가. 그러나 무작정 발표만 하고 아니면 말고 식의 선언적 의미만 부여해서는 안된다.

아쉽게도 그런 정황들이 엿보인다. 문재인 정부는 2030년 경유차 퇴출, 임기 내 전기 이륜차 260만대 보급 등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그리고 설익은 정책을 쏟아냈다. 이제는 바로 잡아야 한다. 2030년에 집착해서는 안된다.

제대로 보고 평가해 확실하고 신뢰성 높은 마스터 플랜을 잡아야 한다. 과연 우리는 몇 년에 내연기관차 판매중지 등을 선언하는 것이 좋을까? 굳이 한다면 영국이나 프랑스와 같이 2040년 정도가 가장 적절하지 않나 싶다. 업계나 정부 등의 입장은 물론 우리의 보급이나 기술 정도 등을 볼 때 가장 무난한 시기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