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차로 노란 신호등 '자율주행차의 판단은'

김 필 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 입력 2016.03.07 07:51
  • 수정 2016.03.07 07:59
  • 기자명 오토헤럴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의 화두는 모두가 자율주행차이다. 자동 운전을 위한 모든 기술이 집약되다보니 먹거리 또한 자율주행차로 몰리고 있어서 글로벌 메이커는 물론이고 IT 등을 대표하는 모든 기업이 이 자율주행차로 몰리고 있다. 센서, 카메라, 디스플레이는 물론이고 주변을 인지하는 라이다 기술, 차량용 주문형 반도체와 이를 구동시키는 알고리즘 등 고부가가치를 가진 부품들이 즐비하기 때문이다.

이제 세계적인 모터쇼와 전시회에서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은 하나의 흐름이 되고 있다. 분명히 자율주행차는 지난 130여년의 자동차 역사의 흐름을 완전히 바꾸는 대사건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향후 활성화에 따라 운전이라는 직업과 택배, 운송 등 다양한 산업은 물론이고 운전면허증 등 자격증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 자체를 전환시키는 폭발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지금의 휴대폰을 구동시키는 알고리즘의 지배는 우리의 신경망을 지배하는 요소인 만큼 물밑 싸움이 치열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메이커들이 자율주행차 개발에 매달리는 이유는 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지금의 자동차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첨단 장치의 탑재가 타 경쟁 차종과 차별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의 선택폭을 높이면서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판매 증대로 이어질 수 있는 정점이 크기 때문이다. 역시 가장 앞서있는 대표 명사는 구글카로 대표하는 차종이다. 지난 6년간 약 300만 Km를 운행하면서 여러 건의 사고가 발생하였으나 한 건도 자율주행차의 책임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면서 향후의 핑크빛 가능성을 높였기 때문이다.

이미 내년 정도에는 어느 지역이든 시속 30~40Km 정도이지만 실버타운이나 관광지역 등에서 운행하는 자율주행차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IT기술 수준이 높은 우리나라도 뒤지지 않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선진국 수준 대비 약 83% 수준이어서 3~4년 정도 뒤진 상태라 할 수 있다. 우리가 미래의 먹거리에 대한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율주행차는 최근 한계점이 많이 노출되면서 회의적인 부분도 많이 제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고 한건도 없다던 구글카가 얼마 전 미국 LA에서 저속이지만 버스와 추돌하면서 접촉사고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책임이 자율주행차로 인정하면서 과연 자동차를 믿고 운전할 수 있느냐에 대한 논란도 커지고 있다. 특히 법적 제도적 한계와 책임소재에 대한 보험 등도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고 사람과 같이 궁극적인 경우에 대한 판단능력을 믿기 힘들다는 논란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자율주행차는 아직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라는 것이다. 자율주행차를 운전할 수 있는 환경 인프라와 제도적 조건은 고사하고 자율주행차 자체도 보완하여야 할 문제가 한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현재 자율주행차는 중요한 교통상황에서 판단능력이 아직은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운전이라는 것은 길거리에서 단순히 수백 만가지 조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의 심리적 안정성, 판단능력과 인지능력은 물론이고 순간적인 윤리적 판단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하여 현명하고 냉정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한 예를 들면 사거리 신호등에서 노란 신호등으로 바뀔 때 운전자는 지나가기 위해서 가속페달을 밟아야 할지 급브레이크를 밟아야 할지 뒤차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판단하고 탑승자의 상태 등도 동시에 판단하기도 한다. 운전자는 어느 한 동작에 그 많은 조건을 판단하고 한 순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단순해 보여도 이 속에서는 복잡한 과정이 숨어있는 것이다. 반면에 현재의 자율주행차는 각종 극한 상황에서는 판단이 불가능하다. 폭우나 폭설은 물론이고 신호등이 고장 난 사거리에서 교통경찰관의 수신호도 확인할 수 없고 보행자나 다른 운전자의 눈을 마주치는 ‘아이 콘텍트’도 불가능하다.

우리 운전자는 이러한 각종 조건에 대하여 적절하게 판단하고 현명하게 실행하는 것이다. 특히 자율주행차는 차량 탑승객의 안전과 수십 명의 보행자가 겹치는 극한 상황일 경우 누구의 생명이 우선이냐는 윤리적인 판단에서는 전혀 판단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각종 상황에서 모든 도로에 다니는 자동차가 자율주행차일 경우는 도리어 판단이 단순해질 수 있으나 일반 사람이 운전하는 자동차와 자율주행차가 조우하는 일반 길거리의 상황은 완전히 별개라는 것이다. 그래서 더욱 걱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이세돌 9단과 세계 최고의 인공지능과의 바둑 대결이 관심을 끌고 있으나 역시 자동차 같은 복잡하고 세분화된 감각이 요구되는 자율주행은 목숨을 담보로 하는 만큼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현재의 자동차도 급발진 문제가 수십 년간 노출되면서 많은 생명을 앗아가고 있는 현재도 해결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자율주행차의 해킹이나 오류 프로그램 작동은 더욱 심각한 사회적 후유증을 나타낼 것이 확실 시 된다.

분명히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와 사물인터넷으로 가는 과정은 인류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중요한 과정이나 확실하고도 안정된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더욱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자율주행차의 상용화,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라는 것이다. <김 필 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저작권자 © 오토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